Wednesday, May 9, 2018

기도의 중보와 구속사적 화해의 중보자 이해

🔵기도의 중보와 구속사적 화해의 중보자 이해

/ 이석봉 기자

성경에서 중보라는 단어가 영어에서는 intercession과 mediation이란 두 가지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혹자는 두 단어를 한 가지 의미로서 묶어버리려는 시도를 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intercession이 ~를 위한 간청이요, mediation이 ~를 위한 행위라는 점에서 다르게 보아야 할 것입니다. 전자는 기도에 따른 간청의 소원이요 후자는 구속사에 따른 행위적 소원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아래 성구는 기도에 관한 내용입니다. 히브리어'중재(중보)'인 '파가'와 헬라어 '중재(중보)'인 '휘페르엔튀그카노'라는 의미의 영어 표현 'intercession'을 사용하였습니다.

"이러므로 내가 그로 존귀한 자와 함께 분깃을 얻게 하며 강한 자와 함께 탈취한 것을 나누게 하리니 이는 그가 자기 영혼을 버려 사망에 이르게 하며 범죄자 중 하나로 헤아림을 입었음이라 그러나 실상은 그가 많은 사람의 죄를 지며 범죄자를 위하여 기도하였느니라(그가 중재하시리라) 하시니라."(사 53:12)

"Therefore I will give him a portion among the great, and he will divide the spoils with the strong, because he poured out his life unto death, and was numbered with the transgressors. For he bore the sin of many, and made intercession(히브리어, 야프기아(יפגיע), (파가(פגע)'의 힢. 미. 3남. 단) for the transgressors."(NIV)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가 마땅히 빌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그가 중재하시느니라)".(롬 8:26) 

"In the same way, the Spirit helps us in our weakness. We do not know what we ought to pray for, but the Spirit himself intercedes" (NIV) (휘페르엔튀그카네이, (헬라어, 휘페르엔튀그카노'의 3인. 단. 현. 직 / 히브리어 마프기아)

이사야 53:12절은 예수 그리스도의 중재(중보) 기도를 말하며, 로마서 8:26은 성령님의 중재(중보) 기도를 말합니다. 분명한 것은 기도의 중재(중보)만을 언급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바르게 알아야 할 것은 예수님은 구속사적 중보자(仲保者) mediator도 되시고 기도의 중보자 intercessor도 되시지만 신자는 기도의 중보(도고)자 intercessor만 될 수 있기에 화해의 중보자 mediator를 신자에게 대입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내가 첫째로 권하노니 모든 사람을 위하여 간구와 기도와 도고('엔튝세이스', intercessions, 히브리어 성경은 '바카쇼트')와 감사를 하되"(딤전 2:1) 

"I urge, then, first of all, that requests, prayers, intercession and thanksgiving be made for everyone"(NIV)

 도고는 헬라어 '엨튴시스'입니다. 도고는 남을 위한 기도입니다. 그러나 아래의 내용과는 확연히 구분됩니다.

"하나님은 한 분이시요 또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중보(헬라어 '메시테스', 히브리어 성경은 '메타베크', 중보자, 중재인) 도 한 분이시니 곧 사람이신 그리스도 예수라"(딤전 2:5) 

"For there is one God and one mediator between God and men, the Christ Jesus"(NIV)

intercessor나 mediator는 모두 중재자를 의미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어 성경 번역자들은 intercessor를 기도의 중재자로서 사용하였고 mediator는 십자가의 구속을 통한 화해의 중재자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므로 mediation은 "~를 위한 어떤 행위"를 말하며, intercession은 "~를 위한 간청"을 뜻함을 알 수 있습니다.

영어 mediator로 번역된 헬라어 중보는 '메시테스'입니다. 화해시키는 자로서의 중보자, 중재자란 뜻입니다. 이로써 대속적 화해의 중보자란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서 십자가의 대속을 통해 화해시키시는 유일하신 구세주 주님을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구속사적 단어는 정확히 말해서 "intercessor'가 아니라 'mediator'입니다(딤전 2:5). 신자들이 예수님의 십자가와 부활의 능력으로 주님의 제자를 삼고, 양육하고, 세례 주고, 주님의 교회를 세우고, 병을 고치고, 귀신을 쫓아낸다고 할지라도 구속사적 화해의 mediator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내주하시는 주님의 이름으로 기도의 중보자 intercessor가 되는 것 뿐입니다.

결론적으로 기도의 중보(intercession)는 예수님도 성령님도 그리고 그리스도인들도(도고) 할 수 있지만 십자가의 구속사적 중보자(mediator)는 하나님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 한 분만이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한글 성경 번역에서 중보기도는 예수님이나 성령님의 기도(중보기도)에 사용하였고 도고는 성도의 기도(중보기도)에 구분하여 사용하였음을 알게 됩니다. 그러므로 주님의 중보기도를 '중보(마프기아)'로, 성도의 중보기도를 '도고'(엔튝세이스)로 이해하여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구속사적 화해의 중보자(메시테스)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 한 분 뿐이심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http://m.reformednews.co.kr/a.html?uid=2996

No comments:

Post a Comment